728x90
728x90
DSR을 쉽게 말하자면 연소득 대비 부채 상환비율을 따지는 것은 같지만 DSR은 전체 부채 원리금 상환비율을 따지는 것으로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을 포함해다른 기타 대출의 원리금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DTI와의 차이점은 DTI는 주택담보대출 원리금과 기타 대출의 이자만 따지지만 DSR은 주택담보대출 원리금과 기타 대출 원리금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DTI규제보다 DSR규제가 더 강력한 부동산 규제라고 볼 수 있겠다.부동산 대출의 종류는 총 LTV DTI DSR 3가지로 부동산을 구입하기 위해 대출을 받는 입장이라면 꼭 알아야 하는 대출 용어이자 부동산 기초 상식이다. 조정대상지역이거나 투기과열지구 등 청약의 경쟁률이 높거나 주택가격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보다 매우 높은 지역이라면 정부에서 나서서..
총소득에서 주택담보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과 기타 대출의 이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예를들어 나의 총 소득이 1억원이고 DTI 비율이 70%라면 주택담보 원리금과 기타 대출 이자를 모두 합쳐 총 7000만원을 은행에서 빌릴 수 있다는 말이다.지난번 LTV에 이어 DTI라는 용어를 설명하는데 이 둘의 차이는 담보의 차이라고 볼 수 있겠다. LTV는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빌려주고 DTI는 자신의 소득원 또는 수입원을 담보로 대출을 해 준다고 볼 수 있겠다. DTI 또한 투기과열지구 나 조정대상지역 같은 경우에는 한도 비율이 낮아지고 정부의 정책에 따라한도 비율이 변동하기도 한다.
언론사나 뉴스기사 신문 등을 봐보면 LTV확대 LTV축소 등 LTV와 관련된 부동산 기사들을 본 경험이있을거다(없을 수도 있다ㅎㅎ) 이 LTV가 뭐길래 많은 뉴스와 언론사에서 떠들어 대는 걸까?바로 현재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의 시장 시세를 담보로 은행에서 돈을 빌려주는 제도를 말한다.예를 들어 시장 시세 10억원의 아파트가 존재한다고 하면 LTV를 80%까지 인정하면 최대 8억원까지은행에서 빌려 올 수 있다는 말이다.크게 은행에서 대출을 할 수 있는 구조는 신용대출과 담보대출로 나뉘는데 신용대출 같은 경우에는 해당 사람이나 기업의 소득과 매출,안정성,직업 등을 봐서 은행에서 신뢰도를 평가하여 대출을 해준다.하지만 담보대출 같은 경우에는 자동차,선박,주택,비행기 등 실물 자산을 담보로 평가하기 때문에 해당..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