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Ⅰ. 공무집행방해죄의 정의1. 공무집행방해죄란?공무집행방해죄(Obstruction of Official Duties Crime)는 공무원이 법률에 따라 정당하게 직무를 수행하는 것을 폭행, 협박, 위계 또는 위력으로 방해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는 국가의 공권력 행사를 저해하고 법질서를 문란하게 하므로 강력한 처벌 대상이 된다.2. 법적 근거형법 제136조(공무집행방해죄): 공무원이 정당한 직무를 수행하는 것을 방해하는 행위를 금지형법 제314조(업무방해죄): 공무원뿐만 아니라 일반 업무를 방해하는 경우 포함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집회·시위 과정에서 공무집행방해 행위가 발생할 경우 추가 적용 가능3. 적용 대상국가공무원 및 지방공무원경찰관, 소방관, 검찰 관계자, 법원 공무원군인 및 공공기관 소속 ..
1. 경찰의 불송치 종류경찰은 사건 수사 과정에서 법적 요건과 증거의 충분성을 검토하여 사건을 검찰에 송치하지 않고 종결할 수 있다. 이러한 불송치 결정은 "수사종결권"의 일부로, 형사사법 절차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경찰의 불송치 결정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이루어진다:1.1. 혐의없음피의사실이 인정되지 않거나, 이를 입증할 증거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사례:고소인이 피의자를 특정했지만, 해당 인물이 범행을 저질렀다는 증거가 없는 경우.범죄가 의심되었으나 조사 결과 범행과 관련된 구체적 증거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1.2. 죄가안됨피의자의 행위가 법률상 범죄로 성립하지 않는 경우.주요 예시:정당방위: 피의자가 정당방위로 인한 행위였음을 입증한 경우.위법성 조각사유: 긴급피난, 피해자의 동의 등으로 ..
1. 모욕죄란?제311조 모욕공연히 사람을 모욕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2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그리고 친고죄에 해당하여 피해자의 고소가 있어야 처벌이 가능하다고소권자에 해당하는 사람은 피해자,피해자의 법정대리인 등 피해자의 직계가족이 해당한다.2.모욕죄의 주체와 객체모욕죄의 주체(가해자)와 객체(피해자)는 자연인(개인),법인,법인격 없는 단체로 구성된다.(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주체와객체가 될 수 없어 고소자체가 불능이다.)3.모욕죄의 공소시효모욕죄의 공소시효는 5년이다. 다만 모욕죄는 친고죄이기 때문에 모욕한 범인을 알게 된 날로부터 6개월 안에 고소를 하여야 한다.(형사소송법 제230조 제1항)4.모욕죄의 성립요건 모욕성 같은 경우 이 표현이 상대방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킨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