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법

반응형

저작권법은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규율하는 법률이다.

1. 저작권법의 종류

저작권법은 크게 저작재산권과 저작인격권으로 나뉩니다.

  1. 저작재산권
    • 저작물을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
    • 복제권: 저작물을 복사하거나 저장할 권리.
    • 공중송신권: 방송이나 스트리밍으로 전송할 권리.
    • 배포권: 저작물을 판매하거나 배포할 권리.
    • 대여권: 저작물을 빌려주는 권리.
    • 2차적 저작물 작성권: 번역, 편곡 등 새로운 창작물로 변형할 권리.
  2. 저작인격권
    • 저작자의 명예와 정신적 권리를 보호.
    • 공표권: 저작물을 공개할 권리.
    • 성명표시권: 저작자의 이름을 표시할 권리.
    • 동일성유지권: 저작물의 내용이나 형태를 변경하지 않을 권리.

2. 저작권 성립 요건

  1. 창작성:
    • 저작물은 개인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표현이어야 함.
    • 단순한 사실이나 아이디어는 보호되지 않음.
  2. 표현의 구체화:
    • 아이디어가 아니라, 이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결과물이 필요.
    • 예: 소설, 그림, 음악, 영상 등.
  3. 인간의 창작물:
    • 인간의 의도와 노력으로 창작된 결과물이어야 함.
    • AI 생성물은 저작권 인정 여부가 논란이 있음.
  4. 고정성 불필요:
    • 저작물은 고정된 매체에 존재하지 않아도 인정됨.
    • 구두 발표, 공연 등도 저작물로 인정 가능.

 

3. 저작권의 주체와 객체

  1. 주체:
    • 저작자: 창작한 사람 또는 단체.
    • 양수인: 계약 등을 통해 저작권을 이전받은 자.
    • 공동저작물: 여러 사람이 공동 창작한 경우 모두 권리자가 됨.
  2. 객체:
    • 보호 대상: 문학, 음악, 미술, 영화, 연극, 건축, 컴퓨터 프로그램 등.
    • 비보호 대상: 공공의 이익에 해당하는 법령, 판례, 사실 정보 등.

4. 위법성 조각 사유

저작권법의 위법성 조각 사유는 공정한 이용이나 저작권 제한 규정을 통해 허용됩니다.

1. 공정 이용(저작권법 제35조의3)

저작물을 정당한 목적과 범위 내에서 이용하는 경우, 일정한 조건을 충족하면 저작권 침해로 보지 않음.

(1) 공정 이용 판단 기준 (4가지 요소)

저작물을 공정 이용으로 인정받으려면 다음 네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1. 저작물 이용의 목적과 성격
    • 비영리적, 교육적, 연구 목적의 이용일수록 공정 이용 가능성이 높음
    • 상업적인 목적(예: 광고, 상품화 등)일 경우 공정 이용으로 인정받기 어려움
  2. 저작물의 종류 및 특성
    • 학문적·사회의 이익이 큰 정보는 공정 이용 가능성이 높음
    • 엔터테인먼트, 소설, 영화 등 창작성이 강한 저작물은 보호 강도가 높음
  3. 사용된 부분의 양과 중요성
    • 전체 저작물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적을수록 공정 이용 인정 가능성이 높음
    • 핵심적인 부분(예: 영화의 결말, 소설의 반전 부분)을 사용할 경우 불리함
  4. 저작물의 시장 가치에 대한 영향
    • 저작물의 경제적 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공정 이용이 인정되기 어려움

✅ 예시:

  • 논문 작성 시 특정 문장을 출처를 밝히고 인용하는 경우
  • 뉴스 보도를 위한 제한적인 저작물 이용
  • 영화 리뷰에서 **짧은 클립(예: 5~10초)**을 사용하여 비평하는 경우

2. 사적 이용을 위한 복제(저작권법 제30조)

개인이 비영리적 목적으로 저작물을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로 보지 않음.

✅ 예시:

  • 본인이 구매한 책을 개인적으로 스캔하여 사용하는 경우
  • 유료 음원을 구매한 후, 개인 소장용으로 MP3 파일 변환
  • 영화 DVD를 구매하여 개인적으로 백업하는 행위

❌ 예외:

  • 친구나 가족과 공유하는 경우에도 다수가 이용하면 저작권 침해가 될 수 있음
  • 클라우드 저장 후 타인과 공유할 경우 침해 가능성 존재

3. 공공저작물 및 법령자료 이용(저작권법 제24조의2, 제7조)

공공기관이 만든 저작물, 법령 및 판례 등은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 가능함.

✅ 예시:

  • 정부기관이 제공하는 공공저작물(예: 국가 기관이 제작한 교육 자료)
  • 법령, 판례, 행정 규칙, 공문서 등
  • 공공 데이터 활용 목적의 연구 및 정책 자료 작성

❌ 예외:

  • 공공기관이 만든 콘텐츠 중에서도 특정 조건(예: 상업적 이용 제한)이 부과된 경우 저작권 침해 가능
  • 법령을 단순히 복사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를 개작하여 별도의 저작물로 등록하면 문제 발생 가능

4. 교육기관에서의 저작물 이용(저작권법 제25조)

학교, 연구기관 등에서 수업 목적으로 저작물을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로 보지 않음.

✅ 예시:

  • 교사가 수업 중 책의 일부를 슬라이드에 인용하여 사용
  • 강의에서 특정 논문의 내용을 일부 발췌하여 설명
  • 수업에서 학생들이 저작물을 이용한 발표나 리포트를 작성하는 경우

❌ 예외:

  • 교육용이라 하더라도 온라인에서 불특정 다수와 공유하면 침해 가능
  • 교재를 무단 복사하여 판매하는 것은 불법

5. 시사 보도 및 비평 목적 이용(저작권법 제26조)

뉴스 보도 및 사회적 관심사가 있는 사안을 보도하기 위해 저작물을 활용하는 경우 예외적으로 허용됨.

✅ 예시:

  • 뉴스에서 특정 유튜브 영상을 짧게 보여주며 사건을 보도하는 경우
  • 영화 비평 기사에서 중요한 장면을 캡처하여 삽입하는 경우

❌ 예외:

  • 비평이나 보도와 무관하게 저작물을 이용하면 침해 가능
  • 원작자의 허락 없이 전체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는 불법

6. 장애인을 위한 저작물 이용(저작권법 제33조)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등의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작물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로 보지 않음.

✅ 예시:

  •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책, 음성 변환 자료 제작
  • 청각장애인을 위한 영상의 자막 삽입
  • 장애인 전용 서비스(예: 오디오북)에서 특정 저작물 제공

❌ 예외:

  • 장애인 대상이 아닌 일반인에게 제공할 경우 저작권 침해 가능
  • 상업적 목적으로 변환 후 판매하는 경우 불법

7. 저작권 보호 기간 만료(저작권법 제39조)

저작권은 창작자가 사망한 후 일정 기간(통상 70년)이 지나면 소멸하여 자유롭게 이용 가능함.

✅ 예시:

  • 1954년 이전 사망한 작가의 작품(예: 셰익스피어, 톨스토이)
  • 1954년 이전에 발표된 클래식 음악(예: 베토벤, 모차르트)
  • 일정 기간이 지난 영화 및 문학 작품(예: 찰리 채플린의 초기 영화)

❌ 예외:

  • 번역본, 개작본 등은 새로운 저작권이 부여될 수 있음
  • 특정 국가별로 저작권 보호 기간이 다를 수 있음

8. 패러디(저작권법상 명확한 조항 없음, 판례 적용 가능)

원작을 비판하거나 풍자하는 목적으로 변형하는 경우 예외적으로 허용될 수 있음.

✅ 예시:

  • 정치인 패러디 영상
  • 영화의 특정 장면을 변형하여 풍자하는 콘텐츠
  • SNS에서 유머 목적으로 제작된 밈(meme)

❌ 예외:

  • 원작의 핵심 내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단순 변경한 경우 침해 가능
  • 상업적 이용 시 저작권자가 문제를 제기할 수 있음
반응형

5. 공소시효

  • 민사 소송: 저작권 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는 피해자가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 불법행위를 한 날로부터 10년
  • 형사 소송: 저작권 침해 형사 사건의 공소시효는 7년(저작권법 위반은 일반적으로 징역 7년 이하의 처벌을 받음).

 

6. 처벌 수위

  1. 민사적 처벌:
    • 침해 금지 청구.
    • 손해배상 청구: 실손해 및 정신적 손해 배상.
    • 부당이득 반환 청구.
  2. 형사적 처벌:
    • 저작권 침해 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
    • 영리 목적 복제, 배포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

7. 예시

  1. 불법 공유:
    • 영화나 음악 파일을 무단으로 공유하는 행위.
    • 처벌: 손해배상, 벌금형.
  2. 저작물 무단 사용:
    • 유튜브 영상에 저작권 있는 음악 삽입.
    • 처벌: 영상 삭제 및 손해배상.
  3. 소프트웨어 복제:
    • 프로그램을 정품 인증 없이 복제하거나 배포.
    • 처벌: 민·형사상 책임.

 

8. 최근 판례

(1) 유튜브 음악 무단 사용 사건 (2024년)

  • 사건 개요: 한 유튜버가 특정 음악을 동의 없이 사용.
  • 판결: 법원은 유튜버에게 해당 수익의 3배를 배상하도록 명령.

(2) NFT와 저작권 (2023년)

  • 사건 개요: 특정 예술가의 작품이 NFT로 무단 거래.
  • 판결: 법원은 NFT 거래 행위를 저작권 침해로 인정하고, 손해배상을 명령.

(3) AI 저작물 논란 (2023년)

  • 사건 개요: AI 생성 이미지를 저작권법으로 보호할 수 있는지 여부 논란.
  • 판결: 창작자의 기여가 명확하지 않으면 저작권 보호 대상이 아님을 명확히 함.

 

 

728x90

'지식 > 법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음란물 유포죄에 대한 2025년 기준 분석  (3) 2025.01.22
대한민국 형벌제도  (2) 2025.01.20
아동복지법  (4) 2025.01.04
폭행죄  (2) 2025.01.01
사기죄  (2) 2024.12.31